QA 엔지니어 성장기
[AWS 프리티어사용법 - 1] EC2 인스턴스 생성 본문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 서버를 어떤걸 쓸까 고민하다가 AWS(Amazon Web Services) 프리티어를 한번 써보기로 했습니다.
AWS란?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아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말합니다.
- 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 기반으로 가상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트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loud Computing란?
- 기존 물리적인 형태의 실물 컴퓨팅리소스를 네크워크 기반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 사용자로 하여금 네크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티어] EC2 인스턴스 생성법
1. 인스턴스 생성
[1] 인스턴스 생성버튼 클릭
- AWS 계정을 생성한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의 AWS로고를 클릭하시면 AWS 서비스들이 나오고 그중 EC2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왼쪽 인스턴스카테고리를 선택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2] 인스턴스 생성시작
[2-1] AMI(Amazon Machine Images) 선택
- AMI는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이미지 입니다. 본인이 사용하고 싶은 OS를 선택해 사용하면 됩니다.
- 프리티어를 사용하려면 프리티어만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프리티어로 지원하는 O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2] 인스턴스 유형 선택
- 인스턴스 유형을 설정하는 창입니다. 프리티어는 선택권이 없기 때문에 아래 그림의 t2.micro 유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 인스턴스 유형 선택 후 인스턴스 세부정보 구성을 선택합니다.
[2-3] 인스턴스 세부정보 구성
- 다른건 안건드리고, IAM역할만 미리 만들어 놓은 걸로 선택합니다. (기본으로 하셔도 되지만 보안상 IAM 계정 만드시고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IAM 선택을 마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net) : AWS리소스에 대하 접근제어와 권한을 가지도록 계정 또는 그룹을 생성하는 서비스입니다.
- IAM 계정생성 참고사이트 : https://victorydntmd.tistory.com/67
[2-4] 인스턴스 검토및시작
- 마지막으로 자신의 설정을 보고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시작하기를 클릭하면 키페어 선택이 나오는데 기존에 생성한 키페어가 있다면(IAM을 만들었다면 기존에 만든 키페어가 있음) 기존 키페어를 선택, 없다면 새키페어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2-5] 인스턴스 생성 완료
-인스턴스가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에는 생성한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프리티어사용법 - 3] AWS 외부접근 설정 (0) | 2019.06.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