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5)
QA 엔지니어 성장기

앞 글에서 STF 디바이스 팜이 무엇인지와 STF 지원 기능을 간단히 살펴 보았다. 이제 본격적으로 STF 환경 구성에 들어가 보자. 구성 장비는 MacOS 미니 장비에서 환경 구성을 진행 했다. STF설치 가능한 환경 요구사항은 리눅스 기반 OS이기 때문에 Window에서 구성할 수 없지만, Window WSL환경으로 STF의 기본적인 설치와 구동은 가능하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WSL환경에서 설치 진행 방법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해보겠다. STF 공식 문서의 구조를 보면 마이크로 서비스로 구성 되어 있다. 각 서비스는 ZeroMQ와 프로토콜 버퍼를 통해 통신하는 여러 독립된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공식 문서에서는 systemd + Docker 배포 방법을 기술해 놓았다. 이 포스터 에서는 Do..

디바이스팜(Device Farm)이란? 디바이스팜(Device Farm)은 Android와 iOS 단말기를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를 제공하고 디버깅 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툴이다. 디바이스팜 도입 목적 단말기 테스트 수행시 테스트 단말기를 각 파트마다 종류 별로 하나씩 구비해 놓는 좋은 환경의 회사가 아니라면 각 파트별로 단말기를 찾아 다니는 경험은 한번씩 해봤을 것이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어느 누군가 장비가 부족해 자신의 개인 소유의 단말기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는 QA분들도 있을 거라 생각 한다. 디바이스팜은 이런한 문제를 일부분 해결 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수 있다. 단말기를 원격지에서 접속하고 웹으로 해당 단말기를 제어 할 수 있는 도구가 있다면, 굳이 ..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웹서버를 구축했다면 외부에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AWS 외부접근 설정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프리티어] 외부접근 설정하기 [1] 보안그룹 선택 & 편집 - AWS EC2서비스에 들어간 후 왼쪽 인스턴스 상태란을 클릭해 현재 사용중인 인스턴스 보안그룹 이름을 확입합니다. (그냥 보안그룹 이름을 클릭하면 밑에 부분 거치지 않고 사용중인 보안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다.) -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보안그룹 클릭해 들어간 후 이전에 확인한 인스턴스의 보안그룹과 같은 이름을 클릭합니다. - 사용중인 보안그룹을 클릭한 후 인바운드를 클릭한 후 편집을 클릭합니다. [2] 보안그룹 인바인드 규칙 추가 - 인바운드 편집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편집 화면이 나오면 규칙추가 ..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 서버를 어떤걸 쓸까 고민하다가 AWS(Amazon Web Services) 프리티어를 한번 써보기로 했습니다. AWS란?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아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말합니다. - 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 기반으로 가상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트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loud Computing란? - 기존 물리적인 형태의 실물 컴퓨팅리소스를 네크워크 기반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 사용자로 하여금 네크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티어] EC2 인스턴스 생성법 1. 인스턴스 생성 [1] 인스턴스 생성버튼 클릭 - AWS 계정을 생성한 ..
1. 개요로컬서버의 공개키를 원격서버에 배포하는 명령어로컬서버의 ~/.ssh/id_rsa.pub 파일 내용을 원격서버의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추가하는 명령어 원격 서버에 authorized_keys 파일이 없다면 생성되고, 있다면 파일 내용이 추가된다. 2. 실행 ssh-keygen을 사용해 key 생성 (이미 key가 있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 jigo@local-host$ [로컬호스트] jigo@local-host$ ssh-keygen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home/jigo/.ssh/id_rsa) : [엔터키] Enter passphrase (empty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