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원격디버깅 (2)
QA 엔지니어 성장기

앞 글에서 STF 디바이스 팜이 무엇인지와 STF 지원 기능을 간단히 살펴 보았다. 이제 본격적으로 STF 환경 구성에 들어가 보자. 구성 장비는 MacOS 미니 장비에서 환경 구성을 진행 했다. STF설치 가능한 환경 요구사항은 리눅스 기반 OS이기 때문에 Window에서 구성할 수 없지만, Window WSL환경으로 STF의 기본적인 설치와 구동은 가능하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WSL환경에서 설치 진행 방법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해보겠다. STF 공식 문서의 구조를 보면 마이크로 서비스로 구성 되어 있다. 각 서비스는 ZeroMQ와 프로토콜 버퍼를 통해 통신하는 여러 독립된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공식 문서에서는 systemd + Docker 배포 방법을 기술해 놓았다. 이 포스터 에서는 Do..

디바이스팜(Device Farm)이란? 디바이스팜(Device Farm)은 Android와 iOS 단말기를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를 제공하고 디버깅 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툴이다. 디바이스팜 도입 목적 단말기 테스트 수행시 테스트 단말기를 각 파트마다 종류 별로 하나씩 구비해 놓는 좋은 환경의 회사가 아니라면 각 파트별로 단말기를 찾아 다니는 경험은 한번씩 해봤을 것이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어느 누군가 장비가 부족해 자신의 개인 소유의 단말기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는 QA분들도 있을 거라 생각 한다. 디바이스팜은 이런한 문제를 일부분 해결 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수 있다. 단말기를 원격지에서 접속하고 웹으로 해당 단말기를 제어 할 수 있는 도구가 있다면, 굳이 ..